반응형

*모든 수치는 스플라인의 크기에 따라 다르므로 맞춰보면서 하기
1. Neon Glass 만드는 법
- Text 이미지를 보고 펜툴로 라인 생성 - Circle 생성 : Ring 체크 - 스윕 넣기 - Object Tab : Start / End Growth 0.5씩 늘리고 줄이기 : Renamed Sweep : Neon - Material : Glass로 적용
2. Neon Emission 만드는 법
- Glass의 Spline을 Instance로 만든 후 Displacer Deformer 적용 - Shader : Noise : Global Scale : 70 : Animation Speed : 0.1 - Displacement Object Tab : Height : 0.6
3. 조명 내부에 기체 효과 주는 법
- Instance에 Volume Builder 적용 : Voxel Size와 Radius 1 내외로 보면서 줄이기 : Density 15 정도로 올리기 - Fog Multiply : Multiply : 0.5 이하 - Shader Field : Refrash : Frame 체크(필드는 체크해주어야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음) : Noise : Scale 95 : Animation speed 0.4 : Contrast 70 : Fog Curve : 그래프 원하는 모양대로 조정 - Renamed Volume Builder : Neon_Volume
* Shader Field를 주어 최대한 실제와 비슷하도록 부분적으로 빛이 들어가지 않게 만드는 것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Volume builder안에 값들을 조정해보기
4. 기체 색상 변경하는 법
- Material : Volume 생성 - Scatter / Emission에 Volume Builder 넣기(오브젝트 이름을 연결한 이후에 바꾸면 다시 연결 해주어야 함) - Emission Tint : 원하는 색으로 변경 - Scale : 수치를 봐가면서 높이기 100정도
5. 유리 연결부분 만드는 법
- Neon Glass를 널로 한번 더 묶고 그 널에 Displacer Deformer 적용 - Object tab : Height : 0.5 - Type : Intensity - Shading Tab : Noise : Scale : 10 - Spherical Field : Field에 Animation Tag : Align to Spline 적용 : Spline에 유리 Spline 넣기 - 원하는 부위에 크기와 위치 조절하며 여러개 만들기
6. 오브젝트에 부분적으로 색상 바꾸는 법
- Neon 전체 선택하고 Connect Object + Delete - Point Mode에서 점 하나 선택하고 Vertex Weight (강의에서는 Connect로 연결한다음 하지만 R26 이후부터는 실제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사물에 무게를 임의적으로 달 수 없다 함) : Set 100%
7. Vertex Weight 더블클릭
- Use Fields 체크 - Fields Tab : Linear Field로 가운데를 나눠주기 (100% 부분이 불필요한 빛을 감싸는 고무? 플라스틱? 뭔가가 될거임) - 다양한 Field로 추가적으로 넣거나 빼고 싶은 부분 넣어주기
8. 조명 뒷부분 고무?로 만드는 법
- 유리 Material : Material , Material Blender, C4D Vertex Map, Color Layer, Maxon Noise, Lamp 노드 꺼내기

- 유리 재질은 Base Color - 새 재질은 Layer Color 1 : 색상은 보기 편한걸로 아무거나 (어차피 마지막엔 검은색으로 바꿈)
- C4D Vertex Map에 6번에서 만든 Vertex Weigt를 연결해주고 Ramp로 고무가 생길 부분 범위 잡아주기(중간에 그라디언트를 확 줄여서 극명하게 나뉘게 만들기)
- Maxon Noise : Overall Scale 0.2, Contrast : 많이 높여주기 - Color Layer에서 Layer 1을 Overlay로 설정
- 유리 내부에 면이 있는 경우 내부에 점을 클릭하고 Vertex weight를 걸어 Shader Graph에서 C4D Vertex Map에 연결 : Layer 2 Color에 연결하고 Multiply로 적용
- Displacement 노드를 꺼내 Color Layer와 연결시킨 후 적용하고 너무 두꺼워지지않게 Scale값을 조정
9. Render View Setting
- LUT 켜서 조정해주고 렌더걸면 끝!
반응형
'3D Tools > Cinema 4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nema 4D + Redshift 치토스 만들기 Part. 2 (재질편) (0) | 2023.09.04 |
---|---|
Cinema 4D + Redshift 치토스 만들기 Part.1 (2) | 2023.09.04 |
Cinema 4D 움직이는 알파벳 만들기 (0) | 2023.09.03 |
Cinema 4D + Redshift 꽃 만들기 (0) | 2023.09.03 |
Cinema 4D 파동효과 주는 법 (0)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