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글에서는 애프터이펙트(After Effects)를 활용하여 카툰 스타일의 불꽃 효과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불꽃 효과라고 하면 별도의 플러그인이나 소스 영상을 떠올리지만, 사실 애프터이펙트 기본 내장 효과만으로도 충분히 자연스럽고 귀여운 카툰 불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방법은 CC Mr. Mercury 효과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블러와 초커, 그리고 Fill 색상을 조합해 불꽃을 다듬는 방식입니다. 완성된 모습은 단순하면서도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어 다양한 모션그래픽 작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불꽃의 기본 모양 만들기 (CC Mr. Mercury)
① 솔리드 레이어 생성
-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새로운 솔리드 레이어를 만듭니다.
- 레이어 색상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요소와 구분하기 쉽도록 진한 색을 권장합니다.
② CC Mr. Mercury 적용
- 메뉴에서 Effect > Simulation > CC Mr. Mercury를 선택합니다.
- 속성에서 Animation > Fire로 변경합니다
- 화면 중앙 아래쪽에 Producer를 배치하면 불꽃이 위로 솟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③ 주요 파라미터 조정
- Radius X : 불꽃이 생성되는 X축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 Birthrate : 파티클이 생성되는 양을 조정합니다.
- Longevity(sec) : 불꽃의 생성 시간 즉, 마지막까지 살아있는 불씨의 높이를 의미합니다.
- Blob Birth Size : 생성될 때 파티클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 Blob Death Size : 파티클이 사라질 때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2. 불꽃 형태 다듬기 (Fast Box Blur + Simple Choker)
① Fast Box Blur 적용
- Effect > Blur & Sharpen > Fast Box Blur를 적용합니다.
- Blur Radius 값을 적절히 조정하여 불꽃 가장자리가 부드러워지도록 합니다.
- 너무 크게 주면 불꽃이 뭉개져 보일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② Simple Choker 적용
- Effect > Matte > Simple Choker를 적용합니다.
- Choke Matte 값을 조정하여 불꽃의 외곽을 안쪽으로 살짝 조여줍니다.
- 불규칙적인 외곽이 정리되면서 카툰적인 선명함이 살아납니다.
3. 색상 입히기 (Fill 효과)
① Fill 효과 적용
- Effect > Generate > Fill을 선택합니다.
- 레이어 전체에 단색을 입힐 수 있으며, 불꽃에 필요한 색을 설정합니다.
4. 레이어 복제 및 수치값 변형
① 레이어 복제
- 완성된 불꽃 레이어를 선택하고 Ctrl + D를 눌러 두 번 복제합니다.
- 총 3개의 불꽃 레이어가 준비됩니다.
② 색상 구성 추천
- 중심부: 밝은 노란색 (#FFD700) – 가장 뜨겁고 밝은 부분입니다.
- 중간부: 주황색 (#FF7800) – 불꽃의 중간 영역을 표현합니다.
- 외곽부: 빨강 (#FF3C00) – 불꽃의 테두리를 강렬하게 강조합니다.
③ 레이어별 설정 차별화
- Radius X : X축의 범위를 줄여 바깥의 불씨보다 안쪽에서 생성될 수 있도록 합니다.
- Direction : 방향을 바꾸어 같은 모양으로 생성 되지 않도록 합니다.
- Birthrate : 생성되는 양을 줄여 바깥쪽 불씨를 넘어가는 불꽃을 조절합니다.
- Longevity : 파티클의 수명시간을 줄여 안쪽의 불꽃이 바깥쪽 불씨를 넘어가지 않게 합니다.
④ 불꽃의 자연스러운 겹침
- 각 레이어의 움직임과 색상이 달라지면서 불꽃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효과가 완성됩니다.
- 겹쳐진 레이어 덕분에 입체감이 더해지고, 불꽃이 단조롭게 보이지 않습니다.
5. 응용 팁
- 색상 변형: 기본 불꽃 외에도 파란색 계열을 사용하면 가스 불꽃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Velocity 조절: 값이 크면 활발한 불꽃, 값이 낮으면 잔잔한 불꽃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Gravity 조절: Gravity를 조금 올리면 불꽃이 무겁게 일렁이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추가 Blur: 레이어마다 Blur 강도를 달리 적용하면 불꽃의 깊이가 더 살아납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애프터이펙트의 CC Mr. Mercury와 Fast Box Blur, Simple Choker, Fill 효과를 조합해 카툰 불 효과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방법을 익혀두면 여러 작업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기본 효과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있습니다. 단순히 수치를 조금씩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전혀 다른 불꽃의 성격을 연출할 수 있으며, 색상 조합에 따라 분위기 역시 크게 달라집니다. 직접 여러 가지 값을 실험해 보면서 자신만의 불꽃 스타일을 완성해 보시길 바랍니다.
'2D Tools > After Eff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프터이펙트에서 아직도 마스크로 영역만 딴다면?! 마스크 200% 활용하는 방법 (5) | 2025.07.28 |
---|---|
After Effects에서 쉽고 빠르게 입체감 주는 법(+3D 표현하기) (2) | 2025.07.21 |
애프터이펙트 자동 텍스트 박스 만드는 방법 + 응용 도장자막 (0) | 2025.07.15 |
After Effects 기본 효과들로 Vintage Old Film 효과 만들기 (옛날 디지털카메라 느낌 내기) (9) | 2025.07.08 |
After Effects로 단 1분! 만에 만드는 8비트 픽셀 감성 (4) | 2025.06.24 |